[FETV=박제성 기자] LIG넥스원과 세종대학교가 미래 우주분야 신기술을 선도할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손을 모았다. LIG넥스원이 지난 15일부터 19일까지 LIG넥스원 용인하우스에서 산학(産·學) 인턴십을 진행했다고 26일 밝혔다. 지난해부터 시작한 산학인턴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미래우주교육센터’ 사업 일환이다. 이번 산학인턴십에는 세종대와 홍익대에 재학중인 대학원생들이 참여했다. 김종필 LIG넥스원 위성체계연구소장, 황홍연 미래전장연구개발본부 연구위원, 박병운 세종대 미래우주항법 및 위성기술연구센터장(교수)의 특강을 비롯해 다양한 현장 실무교육 등이 진행됐다. 또한 ‘위성 개요/궤도’와 ‘위성 시스템’을 비롯한 위성통신, 위성항법, 위성 SAR(영상 레이더) 등의 주제로 LIG넥스원 임직원들의 특강과 현장실무 교육을 진행하며 산학인턴십을 성황리에 마쳤다. 세종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미래우주교육센터’와 방위사업청의 ‘방위산업 계약학과 지원사업’ 주관대학으로 동시 선정된 전국 유일의 교육기관이다. 지난 2022년, 세종대는 서울대, 연세대, 홍익대, 카이스트 등과 함께 ‘미래우주항법 및 위성기술센터’를 개소해 초소형 위성, 달 환경에서의 위
[FETV=박제성 기자] LX하우시스가 상반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 1조7913억6900만원, 영업이익 702억원, 순이익 314억3300만원으로 집계됐다고 25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0.7 % 상승한 반면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7.1%, 29.9% 상승했다.
[FETV=박제성 기자] 대우건설 정완주 회장이 25일 주한 베트남 대사관을 방문해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빈소를 찾아 조문했다고 25일 밝혔다. 대우건설은 정원주 회장이 25일 오후 주한 베트남 대사관을 찾아 지난 19일 향년 80세를 일기로 별세한 응우옌 푸 쫑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을 조문했다고 밝혔다. 정 회장은 이 날 오후 해외사업단장을 비롯한 임직원들과 함께 주한 베트남 대사관에 마련된 빈소를 찾아 조의를 표했다. 부 호 주한 베트남 대사에게 “훌륭하신 분으로 큰 일을 더하셔야 하는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위로의 말을 전했다. 정원주 회장은 대우건설이 중흥그룹으로 편입된 2022년 이후 베트남을 4차례 방문하고 우리나라를 방한한 베트남 고위관계자들과 3차례 면담하는 등 각별한 애정을 보여왔다. 정 회장은 7월 초에도 우리나라를 방한한 팜 민 찐 베트남 총리를 예방했다. 이후 베트남을 방문해 정재계 주요 인사를 면담하고 현지 사업지와 전략을 점검하는 등 아시아의 대표적인 거점시장으로 자리잡은 베트남의 사업 다각화를 위해 노력해 왔다. 대우건설이 100% 단독으로 수행한 ‘스타레이크시티 신도시’ 사업은 기획, 금융조달, 시공, 운영에 이르는 전과정을 성공
[FETV=박제성 기자] S-OIL(S-오일)은 25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삼동보이스타운에서 보육원 청소년과 자립준비청년의 취업역량 강화와 지원을 위한 후원금 총 1억원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FETV=박제성 기자] 정부가 상속세 너무 높다는 지적에 따라 완화에 나선다. 25년만에 개편이다. 세율, 과세표준(과표), 공제까지 25년 만의 상속세 일괄개편이다. 특히 자녀공제를 1인당 5000만원에서 5억원으로 대폭 높인다. 최고세율을 50%에서 40%로 낮추고 과표도 구간별 세부담을 줄이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다만 일괄공제(5억원)와 배우자 공제(5억~30억원)는 조정하지 않는다. 종합부동산세 개정은 막바지까지 논의한 결과 일단은 보류를 택했다. 이유는 2022년 큰 폭으로 완화한 데다 최근 다시 상승세를 달리고 있는 부동산시장 분위기에 따른 것이다. 당초 2025년부터 시행 예정인 가상자산 과세는 오는 2027년까지 2년 유예키로 했다. 정부·여당이 폐지를 추진하는 '금융투자소득세'와의 과세 형평을 고려한 조치로 보인다. 25일 기획재정부는 오후 서울 은행회관에서 세제발전심의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2024년 세법개정안'을 확정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사전 브리핑에서 "이번 세법개정안은 향후 5년에 걸쳐 약 4조4000억원의 세수 감소를 가져올 것"이라며 "올해 국세수입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내년 이후 수출 증가에 따
[FETV=박제성 기자] 삼성 E&A(구 삼성엔지니어링)가 평택 삼성전자 공장(캠퍼스) 그린동 골조 및 정수장 2단계 공사비를 증액했다고 25일 공시했다. 삼성 E&A에 따르면 기존 공사비는 5072억6500만원에서 5321억8000만원 증액됐다. 이는 삼성 E&A의 2020년 매출 대비 7.89%에 해당된다. 이로써 기존 7.52%에서 7.89%로 매출 대비 공사비가 증액됐다. 해당 공사는 반도체의 필수설비 시설인 정수관련 공사로서 삼성전자가 2단계 증설 공사와 관련된 건이다.
[FETV=박제성 기자] HMM은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철도 수송량 증대와 탄소 배출량 감소를 위한 '친환경 철도 물류 활성화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25일 밝혔다. 양사는 코레일이 운영할 예정인 냉동 컨테이너 철도 수송 서비스의 안정화를 위해 협력, 신규 개장 예정인 서해선 송산CY(컨테이너 야적장)를 서북부 내륙 운송 허브 기지로 활성화하는 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번 협력으로 선박과 철도 사이에 화물 수송이 바로 연결되는 '인터모달' 원스톱 운송체계'를 구축, 철도 수송 분담률 증대와 저탄소 물류 교통 체계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HMM은 기대했다. 이정엽 HMM 컨테이너사업부문장은 "이번 협약으로 중점 추진 중인 친환경 운송 생태계 구축에 큰 진전을 이루게 됐다. 특히 국내 냉동 화물 운송에 대한 탈탄소화가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김양숙 코레일 물류사업본부장은 "두 기관의 인프라를 활용한 국제복합운송 체계 구축, 냉동 화물 수송 등 물류 혁신으로 수출 화물의 안정적인 수송 루트 확보와 철도화물 수송량 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FETV=박제성 기자] GS엔텍은 25일 울산광역시 용잠공장에서 영광낙월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공급하는 최초 출하 모노파일 1기를 성공적으로 출하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출하한 모노파일은 100메가와트 이상 국내 해상풍력 프로젝트에서 최초로 설치되는 해상풍력 하부구조물이다. GS엔텍이 제작한 모노파일 1호기는 길이 71.2M, 직경 7.5M, 중량 895.6톤으로 5.7MW(메가와트) 터빈을 설치할 수 있으며, 내년 9월까지 총 64기의 모노파일을 명운산업개발이 진행하는 영광낙월 프로젝트에 공급할 예정이다. 영광낙월 프로젝트는 국내 전라남도 영광군 낙월면 인근 해역에서 시공되는 365MW 규모 대형 해상풍력 프로젝트로 GS엔텍은 작년 2000억 규모의 모노파일 공급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모노파일은 대형 철판을 용접하여 만든 원통형 구조물로 해상풍력발전기 설치를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한다. 부유식 및 삼각대(트라이-파드), 자켓 등 기존의 하부 구조물 방식보다 제작 기간이 짧고 비용도 저렴해 글로벌 시장에서는 모노파일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GS글로벌의 자회사인 GS엔텍은 1988년에 설립된 이후 정유 및 석유화학 플랜트용 화공기기 제작을 주된 사업으로 해 왔지
[FETV=박제성 기자] 에코프로가 저출생 문제 해소에 기여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나섰다. 출산가정을 돕기 위해 육아용품을 전달하는 한편 임직원들의 출산을 지원하기 위한 각종 복지 제도를 도입하고 나섰다. 에코프로는 충북도청에서 저소득 가정에 지원하는 출산 축하용품 ‘마더박스’ 전달식 행사를 가졌다고 25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김영환 충청북도지사, 최상운 에코프로 부사장, 이형진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충북지역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에코프로는 총 170개의 마더박스를 지역사회에 전달키로 했다. 같은 날 포항시에서도 오재영 에코프로머티리얼즈 대외협력팀 팀장, 박정숙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경북지역본부장이 참석한 가운데 마더박스 전달식 행사가 열렸다.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경북지역본부에 마더박스 144개가 전달될 예정이다. ‘마더박스’는 속싸개, 치발기, 젖병솔, 젖병, 체온계, 온습도계, 손수건, 보온병, 수건, 수납박스 등 육아에 꼭 필요한 10개 품목으로 구성됐다. 이번에 지원하는 육아용품은 충북과 경북 각각 4천만 원 상당의 금액으로 지역 내 기업들이 생산하는 제품 위주로 구매했다고 에코프로측은 밝혔다. 에코프로 임직원들이 마더박스를 직접 포장
[FETV=박제성 기자] 한화솔루션은 2024년 2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 2조6793억원, 영업손실 1078억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사업 부문별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매출 9802억원, 영업손실 918억원을 기록했다. 모듈 판매량이 증가, 개발자산 매각 및 EPC 관련 실적이 개선되면서 분기 적자폭이 전분기 대비 50% 이상 감소했다. 케미칼 부문은 매출 1조2224억원, 영업손실 174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석유화학 수요 회복이 지연됐지만 폴리에틸렌(PE) 등 일부 제품 가격이 상승해 적자 규모가 전 분기보다 줄었다. 첨단소재 부문은 매출 2659억원, 영업이익 90억원을 기록했다. 주요 고객사의 판매호조에 힘입어 매출이 직전 분기보다 증가했다. 한화솔루션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모듈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3분기에도 적자폭이 축소될 전망”이라며 “케미칼 부문은 주요 제품 가격 상승으로 수익성이 일부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