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2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산업


국세수입 첫 300조 넘을 듯…조세부담률도 역대 최고

국세 수입 증가속도 빨라지고, 세목별로는 법인세가 가장 가파르게 늘어
예산대비 초과 징수하는 금액도 점차 늘어나, 세수오차율 12.5% 예상

[FETV=최순정 기자] 올해 우리나라 국세수입이 사상 최초로 300조원을 넘어서며 조세부담률 또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지난 6년간 국세수입액 추이를 분석한 결과 올해 국세수입이 302조5000억원으로 예상된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올해 1~6월까지의 국세 수입 누적액 157조2000억원에 지난해 동기간(1~6월 누적) 국세수입 진도율 52.0%를 적용한 것으로 역대 국세수입액 사상 처음으로 300조원을 넘어서는 수치다. 또 5년 전인 2013년에 비해서는 약 100조원 증가한 금액이다.

 

 

국세수입이 늘어나는 속도도 예년에 비해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6월 누계 기준 국세수입은 157조2000억원으로 전년동기(137조9000억원) 대비 19조3000억원(14.0%↑)이 더 걷혔다.

 

연간으로도 올해가 최근 5년 내(2014~2018년) 국세수입 증가율(14.0%)과 증가액(37조1000억원) 면에서 모두 최대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목별로는 법인세의 증가 속도가 가장 가팔랐다.

 

올해 세목별 수입 예상액은 법인세가 71조7000억원(21.2%↑), 소득세는 87조8000억원(16.9%↑), 부가세는 70조5000억원(5.1%↑)으로 추정됐다.

 

이를 토대로 2014년과 2018년의 증가율을 비교해보면 전체 국세수입이 1.8%에서 14.0%까지 12.2%p 증가 한 반면, 법인세는 그 두 배 수준인 23.9%p(‐2.7%→ 21.2%) 증가가 예상된다.

 

한경연은 이러한 법인세 증가의 원인으로 매출 정체 속에서의 이익(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증가와 2013년부터 대기업에 집중된 각종 세액공제감면 축소, 최저한세율 인상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했다.

 

 

올해는 지난해 역대 최고치(20.0%)를 기록했던 ‘조세부담률’이 더 높아질 전망이다.

 

조세부담률은 경상GDP에서 국세와 지방세가 차지하는 비중으로 GDP증가 속도보다 세수가 빠르게 늘어날 때 상승하게 된다.

 

올해 우리나라 경상GDP 증가율은 4.0%로 지난해(5.4%)에 비해 둔화될 전망인 반면, 국세수입증가율은 지난해 보다 4.6%p 증가한 14.0%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올해 경상GDP를 1799조6000억원, 국세수입액 302조5000억원, 지방세 85조6000억원으로 추정해 금년도 조세부담률을 계산해보면 지난해 보다 1.6%p 늘어난 21.6%가 된다.

 

빗나간 세수추계로 인해 올해 세수오차율은 12.5%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013년~2015년 기간에는 대규모 세수 결손이 발생한데 이어, 2016년에는 19조6000억원, 2017년에는 23조1000억원의 초과 세수가 발생했다.

 

올해는 그 규모가 더 커져 본예산 대비 실제 걷히는 돈이 33조5000억원 가량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변동성 등을 감안할 때 어느 정도의 세수오차는 불가피한 면이 있지만 2015년(‐1.5%)을 기점으로 최근 세수 오차율(2016년:8.1%→2017년:9.5%→2018년:12.5%)이 다시 급격하게 커지고 있어 정부 차원의 보다 정교한 세수추계 방안 모색이 요구된다고 한경연은 지적했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 실장은 “최근 기업의 설비투자가 4개월 연속 하락하고, 민간소비가 둔화되는 등 우리 경제의 곳곳에서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며 “일자리 상황이 악화되고, 하반기 내수 위축 등의 우려가 있는 만큼 민간부문의 세(稅)부담을 낮춰 소비 활성화, 투자 여력 확충을 통한 경기 활력 제고가 시급한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