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박신진 기자] 유가증권시장 4곳·코스닥시장 38곳 등 12월 결산법인 상장사 42곳이 비적정 감사의견 등을 받아 상장폐지 위기에 처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거래소는 12월 결산 상장사들의 2021년 사업보고서 제출이 지난달 31일 마감돼 유가증권시장 4개사에 대한 상장폐지 절차를 진행한다.
선도전기와 하이트론씨스템즈는 지난해 처음 감사의견 '거절'을 받았다. 단, 이들 회사가 이의신청서를 내면 거래소가 개선기간 부여 여부를 결정한다. 선박투자회사 하이골드3호는 감사의견 '부적정'을 받았다. 상장폐지가 예고된 후 기한 내 이의신청서를 제출하지 않아 오는 11일 상장 폐지될 예정이다. 쌍용자동차는 2년 연속 감사의견 '거절'을 받았다. 오는 14일 개선기간 종료 후 상장공시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상장폐지 여부가 가려진다.
감사의견 '감사 범위 제한 한정'을 받은 일정실업은 관리종목으로 지정됐다. 선도전기와 하이골드3호도 기타 공익 실현과 투자자 보호를 이유로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상태다.
기존 관리종목 중 JW생명과학, 세기상사, 지코, JW홀딩스, 세우글로벌은 관리종목 지정 사유를 해소해 지정이 해제됐다.
2020사업연도 감사의견 거절로 상장폐지가 예고된 상장사 중 폴루스바이오팜은 지난 2월 상장 폐지됐다. 세우글로벌과 흥아해운은 작년 감사의견 비적정 사유를 해소해 심의를 거쳐 거래가 재개됐다.
작년 적정 감사의견을 받은 센트럴인사이트의 상장유지 결정여부는 현재 미지수이며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는 5월 진행할 예정이다. 지코는 오는 8월에 상장유지 여부가 결정된다.
코스닥시장에서는 38개사가 비적정 감사의견을 받아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했다. 인트로메딕, 베스파, 지나인제약, 바른전자, 휴먼엔, 에스맥, 휴센텍 등 18개사가 그 대상이다. 이들은 올해 처음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했다. 이들 기업은 상장폐지 통지를 받은 날부터 15영업일 이내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차기 사업보고서 법정 제출기한 다음 날부터 10일까지 개선기간을 부여받는다.
2년 연속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한 UCI, 에스디시스템, 좋은사람들, 뉴로스, COWON, 테라셈, 소리바다 등 14개사는 올해 증시 퇴출 여부가 가려질 예정이다.
Copyright @FETV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