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자 주] 국내 주요 금융지주사들이 생산적 금융을 위해 대규모 재원을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순차적으로 내놓으면서 자본비율 관리가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FETV는 금융지주사들의 자본비율 현황과 향후 변수 등에 대해 들여다봤다. |
[FETV=권현원 기자] NH농협금융그룹이 향후 5년간 108조원 규모의 재원을 생산적·포용금융 공급에 투입하기로 한 가운데 자본 적정성 관리 과제가 부각되고 있다. 이는 보통주자본(CET1) 비율 등 자본 적정성 지표가 전분기 대비 악화된 상황 속에서 생산적 금융 계획에 대규모 기업대출 확대 내용이 포함됐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농협금융은 생산적 금융 지원 수준을 감안해 자본확충 등 자본적정성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3Q CET1 비율 12.34%…전분기 대비 0.04%p↓
NH농협금융그룹(이하 농협금융)에 따르면 농협금융의 3분기 CET1 비율은 12.34%로, 전분기 대비 0.04%p 하락했다.
CET1 비율은 CET1을 위험가중자산(RWA)으로 나눠서 계산하는데 3분기 CET1 비율은 CET1보다 RWA의 증가 폭이 더 커지며 하락했다. 3분기 RWA는 218조4398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2.8% 늘었다. 같은 기간 CET1는 2.4% 증가한 26조9447억원을 기록했다.
최근 1년 기준으로 살펴보면 이번 3분기 농협금융의 CET1과 RWA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2%, 9.7% 증가했다. 올해 들어서는 CET1 비율 증가 폭은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였고, RWA의 경우도 2분기까지는 증가 폭이 줄어드는 모습이었으나 3분기 크게 확대됐다.
농협금융의 CET1 비율은 주요 경쟁사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구간에 위치해 있다. 실제 농협금융을 제외한 국내 주요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3분기 기준 CET1 비율은 12.92%에서 13.83% 사이로, 평균 13.4%대를 유지하고 있다.
CET1 비율 이외에도 3분기 기준 농협금융의 자본 적정성 지표는 전분기 대비 대부분 하락한 상태다. 농협금융의 3분기 총자본비율과 기본자본비율은 2분기보다 각각 0.17%p, 0.03%p 내렸다.
농협금융 관계자는 “손익 시현에 따른 CET1 증가에도 불구, 자회사별 감독규제 강화 및 사업량 증가로 RWA이 증가했다”며 “이에 대응해 자회사별 RWA 한도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농업금융' 책임지는 금융기관 역할 강화
농협금융은 최근 향후 5년간 108조원 규모의 생산적·포용금융을 공급하는 ‘NH 상생성장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농협금융은 회장 직속 ‘생산적 금융 특별위원회’를 신설해 이찬우 회장이 직접 생산적 금융 확대를 위한 진도상황과 자회사간 협력체계를 점검해 나가기로 했다.
108조원 중 먼저 생산적 금융에는 93조원을 공급하기로 했다. 농협금융은 투·융자 분과 68조원으로 가장 많은 재원을 투입하기로 했으며 모험자본·에쿼티 분과에 15조원, 국민성장펀드 분과에 10조원을 배정했다.
구체적으로 투·융자 분과는 첨단전략산업, 지역특화산업, 창업벤처기업 등을 중심으로 ‘기업 성장지원 대출’을 확대한다. 또 관세 피해기업에 금리 우대 등 ‘금융지원 강화’도 병행하기로 했다.
모험자본·에쿼티 분과는 증권 종합투자계좌(IMA)를 중심으로 모험자본과농업·농식품기업 투자를 확대하는 역할을 맡았다. 신사업인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BDC) 추진, 성장주도코리아펀드 운용, 벤처펀드 활성화 등을 통해 미래성장 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국민성장펀드 분과에서는 ‘산업은행 첨단전략기금’과 연계한 민·관 합동 투자와 정부 5극 5특 전략에 부합하는 지역 특화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경쟁사와의 차별점으로 농협금융은 농업금융을 책임지는 금융기관으로의 역할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농업·농식품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전용 펀드 조성, 농업인 대상 우대금리 및 정책자금 연계 등 금융지원 확대를 통해 농업 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끈다는 계획이다.
이와 같은 생산적 금융 공급 계획으로 인해 농협금융의 CET1 비율이 향후 하락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업대출 확대로 인해 RWA가 늘어날 가능성이 생겼기 때문이다.
농협금융 관계자는 “상생금융 지원 수준을 감안해 자본확충 등 자본적정성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며 “일부 CET1 비율 하락 요인은 존재하나 이를 감안해 자본비율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