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박원일 기자]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입주민 연료비 부담은 덜고 편리하고 안전하게 난방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공동주택 난방시스템을 개선한다고 11일 밝혔다.
우선 개별난방 구조에는 '캐스케이드 보일러' 시스템을 적용한다. 이는 건물 내 기계실에 여러 대의 보일러를 집약 설치한 뒤 필요한 만큼의 열만 자동으로 생산하는 중앙집중형 고효율 구조다.
중앙집중 방식으로 기존 방식 대비 약 20% 에너지 효율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세대 내 보일러실이 사라져 주거 공간이 넓어질 뿐 아니라 일산화탄소 중독이나 화재 위험 등도 사라진다.
특히 일부 보일러가 고장 나더라도 다른 보일러가 자동으로 보완 운전해 한겨울에도 안정적인 난방 공급이 가능하다. 적용 대상은 장기 공공임대 50㎡ 이하 단지 중 300세대 이상 단지로 올해 신규 사업계획 승인 신청 지구부터 설계 여건 등을 고려해 적용된다.
지역난방에는 AI(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 통합배관 시스템'을 적용한다. 기존 지역난방 공동주택은 난방용과 온수용 배관이 분리된 구조인 탓에 열손실이 크고 유지관리가 복잡했는데 새 시스템은 난방과 온수 공급 배관을 통합하고 AI를 활용해 온도와 유량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 통합배관 시스템은 세대별 열수요를 예측해 최적의 열공급을 지원한다. 열손실 최소화로 약 9%의 에너지 절감을 기대할 수 있으며 2026년 신규 사업계획 승인 신청 지구부터 지역난방에 순차 적용될 예정이다.
오주헌 LH 공공주택본부장은 "입주민이 연료비 부담 없이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생활을 이용하실 수 있도록 공동주택 난방시스템을 개선했다"며 "앞으로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고품질 주거환경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