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임종현 기자] 이재명 정부가 생산적 금융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내세우자 금융권이 잇따라 종합대책을 내놓고 있다. 우리금융그룹이 선제적으로 80조원 규모의 생산적 금융 계획을 공개하며 정부 눈도장을 찍자 KB·신한·하나·농협금융그룹도 잇따라 전담 조직을 꾸리며 대응에 나섰다.
이처럼 금융권 전반이 생산적 금융 경쟁에 나서는 가운데 이제 막 시중금융 반열에 오른 iM금융그룹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5대 금융지주 수준의 계획을 내놓기엔 부담스럽고 지방금융에 맞추자니 시중금융으로서 존재감을 입증하기 어렵다.
금융권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정부의 사회적 요구에 발맞춰왔다. 문재인 정부는 포용금융, 윤석열 정부는 상생금융, 이재명 정부는 생산적 금융을 내세우며 지원을 요구했다.
특히 5대 금융지주는 정책적 부담이 가장 컸다. 금융권 공동으로 참여했던 상생금융 당시에는 시중은행, 지방은행, 인터넷전문은행 등 모든 은행이 전년도 3·4분기까지의 당기순이익을 연간 기준으로 환산한 뒤 순이익의 10%를 분담했다. 시중은행은 2000억~3000억원 안팎을 부담했고 지방은행과 인터넷은행은 500억원 규모로 참여했다.
시중은행이 조 단위 순이익을 내던 만큼 정부의 기대치가 컸던 것도 사실이다. iM금융으로선 이런 전례가 오히려 비교의 잣대로 작용했다. 순이익의 10%를 내는 부담은 과거와 다르지 않다. 달라진 건 위상이다. 이제는 지방은행이 아닌 시중은행으로서 정부와 시장의 눈높이를 동시에 의식해야 한다.
iM뱅크는 아직 구체적인 규모를 내놓지 않았지만 정책 기조에 발맞춰 모험자본 투자 확대와 금융 인프라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구·경북권 성장엔진 분야 지원을 위해 기실행하고 있는 신성장 4.0 전략 분야 지원 대출을 비롯해 지방자치단체, 신용보증기금과 연계한 확대 방안을 추진 중이다. 또 전문 인력을 영입하고 부서 간 협업 체계를 고도화해 실행력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금융당국은 생산적 금융을 통한 민간 자본 공급 확대를 적극 독려하고 있다. 실제로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29일 은행장들과의 첫 간담회에서 "정부와 시장이 함께 가는 하나의 예"라며 우리금융의 선제적 행보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제 공은 iM금융으로 넘어왔다. 지역 금융의 틀을 깨고 시중금융으로서 존재감을 증명해야 할 시험대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