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정부가 부처 개편안을 내놓으며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예고했다. 기후에너지부 신설에 산업계는 강화될 환경 리스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FETV가 주요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 사용량, 환경 관련 투자 지표를 점검했다. |
[FETV=이신형 기자] 최근 2년간 세차례 조업정지 처분을 받은 영풍이 실제 생산 차질을 겪으며 현실화된 환경 리스크를 보였다.
영풍은 지난 19일 생산중단 계획을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영풍의 석포제련소는 환경오염시설법 위반에 따른 행정처분으로 오는 11월 11일부터 21일까지 열흘간 조업을 중단한다. 이로써 영풍은 2023년 이후 총 세 차례의 조업정지 처분을 받게 됐다.
지난해 조업정지 처분 가운데 한 건은 실제로 집행돼 10일간 가동이 중단됐다. 또 올해 2월부터 4월까지 58일간 조업정지 처분이 집행되며 상반기 실적에 실질적인 타격을 입었다. 해당 조업정지 처분은 2021년 물환경보전법 위반으로 내려진 처분으로 장기간 법적 다툼이 이어졌으나 지난해 상고심에서 기각되며 효력이 확정돼 집행된 것이다. 올해 이어진 조업정지는 규제 리스크가 단순한 가능성이 아니라 실제 생산 차질로 현실화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2023~2025년 상반기 영풍 환경 리스크 점검 [자료 2024년 ESG보고서·2025년 반기보고서]](http://www.fetv.co.kr/data/photos/20250939/art_17585265612503_1f470c.png?iqs=0.9286430545039551)
KOSIS(한국통계포털)에 따르면 2023년 기준 ‘1차 비철금속 제련업’은 전체 86개 제조업 중 온실가스 배출량 8위를 기록했다. 영풍의 직·간접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3년 110만tCO₂eq에서 지난해 76만tCO₂eq로 줄었다. 그러나 생산 단위당 배출량을 나타내는 배출 집약도는 72로 개선되지 않았다. 절대 배출량은 감소했으나 구조적 저감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의미다.
환경 규제에 따른 제재 건수는 2023년 11건에서 지난해 5건으로 줄었지만 여전히 업계 평균 대비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 2건의 조업정지와 최근 1건의 조업정지 처분이 내려지며 2년간 3건 총 30일의 조업정지 처분을 받게 됐다. 조업정지는 실제 생산 차질로 이어지기 때문에 실적 타격이 불가피하다.
지속되는 조업 중지 처분과 시황 악화로 인해 재무 성과도 부진하다. 지난해 영풍의 매출은 2조7874억원으로 전년 대비 26% 감소했고 영업손실은 1607억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 올해 상반기 역시 조업정지 집행 여파로 전년 대비 21.5% 감소한 매출 1조1717억원에 영업손실 1504억원을 기록하며 적자가 확대됐다.
![2023~2025 상반기 영풍 환경 관련 과태료, 조업정지 제재 현황 [자료 2025년 영풍 반기보고서]](http://www.fetv.co.kr/data/photos/20250939/art_17585265469704_88a7c1.png?iqs=0.17084602197866505)
환경 당국의 제재 현황을 종합하면 영풍의 환경 리스크는 단발적 사건이 아니라 구조적이다. 2023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석포제련소에는 개선·조치명령, 경고, 벌칙, 조업정지 등 16건의 행정처분이 내려졌다. 제재의 대부분은 방지시설 관리 미흡 자가측정 미이행 허가조건 불이행 등 기본적 관리 의무 위반에 따른 것이었다.
이처럼 반복적이고 광범위한 제재는 영풍이 강조하는 친환경 경영 기조와 상충돼 기업 신뢰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ESG 등급 하락 가능성이 높아지고 등급 하락은 곧 투자자 신뢰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부담은 점차 커질 전망이다.
정부가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통해 친환경·신재생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면서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에 대한 규제 강도는 앞으로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환경 변화 역시 영풍의 사업 지속 가능성에 구조적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