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신동현 기자] 네이버클라우드가 ‘KOBA 2025(국제 방송·미디어·음향·조명 전시회)’에서 영상 분석 서비스 ‘MAIU(Media AI Understanding)’를 공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AI가 영상 속 인물, 배경, 행동, 음성 등 다양한 정보를 자동 분석해 메타데이터로 변환하고, 텍스트 기반 검색으로 원하는 장면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현재 방송사와 파트너사를 대상으로 클로즈드 베타 테스트 중이며 오는 6월 정식 출시를 앞두고 있다.
![[사진 네이버클라우드]](http://www.fetv.co.kr/data/photos/20250521/art_17477934942501_b8efab.jpg)
MAIU는 ‘와인잔 나오는 장면’이나 ‘남주인공 달리는 장면’처럼 문장 기반의 자연어 검색이 가능하며, 반복적인 수작업 없이 수천 분의 영상 속 주요 장면을 자동 식별한다. 특히 기존 AI 서비스들이 개별 프레임이나 객체 중심으로 분석했던 것과 달리, MAIU는 이야기 흐름에 따른 장면(scene) 단위로 분석해 콘텐츠 편집·재가공에 실질적인 효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회사에 따르면 예능 프로그램 1편 제작 시 약 3,600분의 멀티캠 영상을 대상으로 하던 기존 수작업 분석은 3~4일(약 32시간) 소요됐지만, MAIU를 활용하면 약 2시간 내로 가능해 최대 15배의 시간 단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MAIU는 모델 경량화로 가격 경쟁력도 확보했다. 정식 출시 시 글로벌 경쟁 제품 대비 최대 3분의 1 수준의 가격으로 공급될 예정이며, 영상 송출(VOD, 라이브 스트리밍) 기능도 통합 제공해 제작부터 유통까지 하나의 플랫폼에서 처리할 수 있다.
네이버클라우드 관계자는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영상 산업은 클라우드 전환 및 적극적인 AI 기술 도입으로 혁신이 가장 기대되는 분야 중 하나”라며 “AI 영상 분석 서비스를 포함해 콘텐츠 제작, 편집, 유통, 관리에 이르는 전 과정을 아우르는 엔드투엔드 미디어 서비스로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만족시키고 영상 산업의 혁신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