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환 금융위원장이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감독원장, 5대 금융지주회장, 정책금융·유관기관장 및 금융협회장들과 개최한 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금융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과제를 논의했다. [사진 금융위원회] ](http://www.fetv.co.kr/data/photos/20241250/art_17337049907866_2a1adf.jpg)
[FETV=권지현 기자] 김병환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비상계엄령 여파로 불확실성이 높아진 자본시장에 대해 증권 및 채권 안정화 펀드 50조원 규모를 적기에 투입한다고 밝혔다. 이밖에 금융위가 추진 중이던 자본시장 밸류업, 공매도 시스템 구축, 인터넷전문은행 추가 인가 등의 현안을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9일 금융감독원장, 5대 금융지주회장, 정책금융·유관기관장 및 금융협회장들과 금융상황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 김 위원장은 “금융당국은 금융시스템 안정과 금융부문의 대외신인도 유지를 위해 흔들림 없이 주어진 책무를 다하겠다”며 증권시장 안정화펀드(증안펀드) 및 채권시장 안정화펀드(채안펀드) 투입 계획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그는 “금융시장 상황을 24시간 모니터링하면서 10조원 규모의 증안펀드, 40조원 규모의 채안펀드와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 증권금융의 외화유동성 공급 등 부문별로 준비된 시장안정 조치가 적기에 시행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자본시장 밸류업을 위한 조치, 불법공매도 근절을 위한 시스템 구축, 인터넷전문은행 추가 인가, 소상공인 자영업자에 대한 금융부담 완화, 실손보험 개혁 등 12월 중 발표하기로 한 대책을 일정대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금융지주에는 금융 자회사들의 유동성과 건전성을 면밀히 점검하고, 기업의 경제활동이 위축되지 않도록 자금운용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주문했다. 그는 “금융지주는 대외신인도 측면에서도 최전방에 있다”며 “외국계 금융사·투자자 등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해 각 지주사의 안정성과 우리 금융 시스템의 회복력도 적극적으로 소통해달라”고 당부했다.
김 위원장은 정책금융기관과 증권 유관기관에는 시장안정조치, 자금공급 등의 역할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