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장명희 기자] 실내 측위 기술 및 서비스 전문기업 파파야 주식회사(김태엽·전영준 공동대표)가 한국국토정보공사(이하, LX)가 주도하는 ‘입체주소정보 활용 센서맵 DB 구축’ 사업을 수주, 전국 단위 실내 지도 제작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 2021년 6월 도로명주소법 전면 개정에 따라 새롭게 도입된 입체 주소 체계를 시스템화하고, 현재까지 지상 도로와 건물에만 부여되던 도로명주소를 입체 도로(고가·지하 등)와 사물, 공간 등에 확대 부여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행정안전부의 ‘디지털 주소 정보 플랫폼 구축’ 사업의 하나로 전개된다.
행안부는 이러한 입체 주소 사업을 통해 전국 245개(행정시 포함) 자치단체, 1,000여 명의 지방공무원이 도로명주소 부여 및 관리에 사용하는 ‘주소 정보관리 시스템’ 개편을 진행 중이다. 연도별 계획에 따라 지난 2023년부터 오는 2025년까지 3단계에 걸쳐 총 326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며, 2026년 완전 개통을 목표로 추진된다.
2023년도 1단계 사업에선 기존 자치단체 도로명주소 담당자가 수기로 처리해 왔던 주소 업무를 전산화하는 작업이 이뤄졌다. 올해 이어지는 2단계 사업에는 실내 측위 분야의 선도적인 역량을 자랑하는 기술 스타트업 파파야와 국내 최고 수준의 지리정보시스템(GIS) 역량을 보유한 올포랜드 등 2개 업체가 컨소시엄을 구성, 센서맵 DB(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나선다.

사업 착수는 올해 6월부터 이뤄졌으며, 파파야는 내년 2월까지 2023년에 구축된 전국 내부 도로 및 실내 이동 경로 센서맵 제작과 데이터베이스화를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전 세계를 통틀어 최초로 진행되는 전국 단위 실내 측위 사업인 만큼, 산술적인 구축 범위는 무려 1,440만 ㎡(약 435만 6,000평)에 달한다.
센서맵 구축은 사업 목적인 공공 영역의 업무 편의성 제고를 촉진하는 동시에, 더 다양한 민간 위치기반서비스(LBS)에도 도입되며 업계 혁신과 산업 규모의 확장, 시민 삶의 질 향상을 도울 것으로 기대받는다. 긴급 상황에서 신속한 충동과 구조 활동을 돕거나, 스마트 빌딩 솔루션과의 연계로 건물 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일체를 자동화 및 최적화할 수 있으며, 혹은 쇼핑몰, 공항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에서 위치 기반 광고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의 제공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한, 파파야는 이번 사업을 통해 획득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자사 실내 측위 시스템과 기능성과 성능의 고도화를 지속하겠다는 방침이다.파파야 측은 “파파야는 민간과 공공 영역을 아울러 뛰어난 신뢰성을 담보하는 AI 기반의 위치 정보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라며, “특히 민간에는 포털 지도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비롯한 범용 LBS 서비스와의 협업을 추진하면서, 최상의 실내 지도 경험을 제공하는 데 이바지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센서맵 구축과 관련해 우리가 보유한 혁신성과 경험의 가치를 인정받아 이번 사업을 수주하게 된 만큼, 모두에게 한층 더 유용하고 폭넓은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설립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차세대융합콘텐츠산업협회가 운영하는 디지털콘텐츠기업 성장지원센터 입주기업인 파파야는 기술사업화 및 투자유치 관련 맞춤형 컨설팅에 참여하여 기업에 적합한 전문가의 조언을 지원 받고 있으며, 대외 홍보 지원 및 기업 협력을 위한 네트워킹 프로그램에도 참여하며 기술 사업 성장에 주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