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권, 1분기 순손실 1543억...연체율 9% 육박

등록 2024.05.29 14:47:30 수정 2024.05.29 14:49:28

부동산시장 침체·경기회복 둔화 등 업계 경영환경 부정적 영향
손실흡수능력 제고·부실채권 정리·증자 등 경영안정성 유지 노력

 

[FETV=임종현 기자] 저축은행들이 올해 1분기(1∼3월) 1500억원대의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수신금리 안정화에 따라 이자비용은 일부 감소했으나, 여신 규모 축소에 따른 이자수익 감소와 손실흡수능력 제고를 위한 선제적 대손충당금 추가적립 등의 영향으로 순손실이 발생했다. 또 경기회복 둔화 및 경기 침체 등으로 연체율은 8.8%까지 뛰었다.

 

29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은 1분기 1543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작년 1분기 527억원 순손실 대비 1016억원 확대됐지만, 직전 분기 4155억원 보다는 감소했다.

 

총자산은 122조7000억원으로 작년 말(126조6000억원) 대비 3.1% 감소했다. 여신과 수신 모두 감소했다. 여신은 101조3000억원으로 작년 말(104조원) 대비 2.6% 감소했다. 수신은 103조7000억원으로 작년 말(107조1000억원) 대비 3.2% 감소했다. 여신감소로 인한 신규 자금 유치 필요성 저하와 기준금리와 자금시장 안정화에 따른 유동성 리스크 축소 등의 영향으로 줄었다.

 

자기자본은 14조5000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2000억원(1.4%) 감소했다. 1분기 약 540억원 규모의 증자를 실시했지만, 당기순손실 발생 영향으로 소폭 줄었다.

 

1분기 이자비용은 1조772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3283억원) 대비 18% 감소했다. 하지만 여신규모 축소로 이자수익이 2조4860억원으로 전년 동기(2조7196억원) 대비 8.5% 줄었다. 손실흡수능력 제고를 위한 선제적 대손충당금은 1조2992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996억원) 대비 18% 증가하며 순손실이 늘었다.

 

연체율은 8.80%로 작년 말(6.55%) 대비 2.25%포인트(p) 상승했다. 경기회복 둔화와 경기침체 등으로 거래자의 채무상환능력이 저하되면서 연체율이 지속 상승하고 있다. 또한 연체율 산정 시 모수가 되는 여신의 감소도 연체율 상승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황이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11.0%로 작년 말(7.48%) 대비 3.52%p 뛰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과 새출발기금 협약에 따라 제3자 매각이 제한된 개인사업자 대출 중심으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5.25%로 작년 말(5.01%) 대비 0.24%p 올랐다. 5000억원 규모의 매각과 상각 등을 통해 관리 가능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0.32%로 전년 말(7.73%) 대비 2.59%p 상승했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4.69%로 법정기준 대비 약 2배 수준을 유지했다. 법정기준 BIS비율은 자산 1조원 이상 8%, 1조원 미만 7%다.

 

1분기 당기순손실 발생에도 리스크관리 강화 등을 통한 위험가중자산 축소로 BIS비율은 전년 말(14.35%)대비 0.34%p 상승했다. 유동성비율은 227.27%로 법정기준 100% 대비 127.27%p 초과했다. 자금변동성에 대비한 단기 안전자산 위주의 자금운용 등으로 법정기준을 배 이상 넘겨 보유 중이다.

 

중앙회는 부동산시장 침체 지속, 경기회복 둔화 및 기준금리 인하 지연 등 거시경제 여건이 업계 경영환경에 부정적으로 작용해 당기순손실 발생 및 건전성 지표 악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다만 ▲2022년 하반기부터 지속해온 위험자산 축소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이익금 내부유보 및 증자 등 선제적 대응을 통해 경영안정성은 이상 없다는 게 중앙회의 설명이다. 또 당기순손실 발생 및 연체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경영안정성 종합지표인 BIS비율이 법정기준치를 크게 상회하고 있는 등 현 시점의 리스크는 관리 가능하다는 수준이다.

 

중앙회는 물가안정을 위한 통화긴축 기조 지속, 부동산시장 회복 지연 등 어려운 영업여건이 지속될 것으로 봤다. 특히 부동산 PF대출 사업성 평가기준 도입, 다중채무자 충당금 적립 강화 등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위한 제도 시행 예정이다. 이에 따라 향후 저축은행의 경영전략은 수익성 개선 보다는 리스크 관리에 보다 초점을 맞춰 대응계획을 수립한다는 방안이다.

 

중앙회 관계자는 “올해도 어려운 영업여건 지속 및 새로운 제도 도입에 따른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등으로 손실 확대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나 손실흡수능력 제고,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 및 증자를 통한 경영안정성 유지를 위한 자구노력을 할 것”이라며 “정책·감독당국 및 한국은행 등 유관기관과의 협조를 통해 현 상황을 안정적으로 극복해 나아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임종현 기자 jhyun9309@fetv.co.kr
Copyright @FETV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FETV | 법인명: ㈜뉴스컴퍼니 | 등록및발행일: 2011.03.22 | 등록번호: 서울,아01559 | 발행인·편집인: 김대종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9 레이즈빌딩 5층 | 전화: 02-2070-8316 | 팩스: 02-2070-8318 Copyright @FETV. All right reserved. FETV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