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임종현 기자] 신용보증기금이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실행에 기여하기 위해 오는 2030년까지 녹색금융 100조원을 공급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의 탄소중립과 녹색성장을 위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민·관·공의 협업 기관을 찾아 협력체계를 구축, 숙의를 거쳐 도출한 과제를 적극적으로 실행한다는 방침이다.
최원목 신보 이사장은 27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창립 48주년 기자간담회를 열고 향후 사업 방향 계획을 밝혔다.
우선 신보는 2019~2023년 녹색금융 공급 금액의 연평균 성장률(11.1%)과 녹색금융 확대 의지를 반영해 향후 7년간 100조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올해 11조1000억원으로 공급을 확대하고 2030년 1조9000억원까지 지원액을 꾸준히 늘릴 계획이다.
녹색산업을 혁신성장의 기회로 만들기 위한 다양한 협업도 지속하고 있다.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협업해 국내 최초로 중소·중견기업 대상 녹색자산유동화보증(G-ABS)을 발행함에 따라 작년부터 기업당 연간 최대 4.2%포인트(p)의 금리 우대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한국부동산원과는 에너지 배출량 데이터 공유를 통해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률에 따라 우대 보증을 제공하는 새로운 상품을 출시했다. 신보는 녹색금융을 선도할 수 있도록 ‘기업과 함께하는 녹색금융 동반자’(Green Guarantee)를 비전으로 설정하고,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했다.
최 이사장은 “현재 녹색금융 공급액(약 10조원)은 신용보증의 12% 수준인데 2030년까지 24% 이상으로 늘리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신보는 지역 내 창업을 활성화하고, 미래 성장성과 혁신성을 가진 지역기업이 강소·중견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혁신아이콘 수준의 파격적인 지원도 강조했다. 지역 스타트업을 위해서는 작년 5대 광역시와 함께 출범시킨 ‘글로컬 공동지원 사업’을 통해 특화보증과 공동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올해는 지방주도 균형발전을 위해 ‘글로컬 공동지원 사업’ 협업 대상을 도(道) 단위로 확대하고 지자체 지원과 연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신보는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 직접 발행을 추진해 중소·중견기업의 금융비용 부담을 완화할 계획이다. 유동화증권을 직접 발행할 수 있는 근거를 신용보증기금법(신보법)에 반영 추진한다. 이를 통해 발행금리 인하 및 수수료 절감으로 연율 50bp 내외 금리인하를 기대하고 있다. 예컨대 연간 1조5000억원어치를 발행할 경우 375억원의 비용이 절감된다.
최 이사장은 “신보는 신용등급이 국가신용등급만큼 높음에도 채권을 발행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어 페이퍼컴퍼니를 통해 하다 보니 금리가 올라갔다”며 “추가로 P-CBO 직접발행을 위한 신보법 개정을 추진해 중소·중견기업이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한편 신보는 지난 48년간 기업에 대한 맞춤형 금융지원을 통해 대한민국 경제발전의 디딤돌 역할을 수행하고 미래성장동력 확충에 기여했다고 자평했다. 설립 첫해에 1만개였던 업체 수가 작년 말 기준 56만개로 늘었고, 1000억원에 불과했던 보증잔액도 83조원으로 커졌다.
신보는 국가 경제가 위기를 겪을 때마다 위기 극복의 원동력을 제공하며, 시장안정망으로 역할을 다했다. 또 정책지원이 닿지 않는 새로운 산업과 성장가능성은 높지만 자금조달이 어려운 기업을 선도적으로 집중 지원해 미래성장동력 확충의 마중물 역할을 수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