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박제성 기자] GS건설이 결국 돈 보단 신뢰회복을 선택한 특단의 조치를 내렸다. 인천 검단신도시 아파트 건설현장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에 책임을 전부 떠안기로 했다. 이를 위해 선택한 카드는 11개동 1666세대인 기존 아파트를 모두 허물고 다시 짓기로 했다. GS건설의 전면 재시공할 경우 소요되는 비용은 금융비용을 포함해 총 1조원에 달한다. 기업 입장에선 천문학적인 금융 손실을 감수한채 추락한 자이 브랜드 이미지 및 고객과의 신뢰 회복 등을 감안한 특단의 조치인 셈이다.
GS건설의 이같은 수용 조치는 지난 4일 국토교통부 건설사고조사위원회가 시공사 측의 총체적 부실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온데 따른 일종의 후속적 대책 일환이다. 이에 GS건설은 깔끔하게 인정하는 자세를 취한 뒤 5일 사과문을 밝혔다. 이같은 액션은 돈 대신 건설사 브랜드 이미지에 맞게 신뢰 회복을 최우선으로 제시한 셈이다.
실제로 국토부는 이번 사고에 대해 총체적 부실이란 설계부터 품질관리까지 문제가 있었다는 조사 결과를 내놨다. 즉, 설계와 감리, 시공 모두 문제가 있던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부는 ▲설계·감리·시공 등 부실로 인한 전단보강근의 미설치 ▲붕괴구간 콘크리트 강도부족 등 품질관리 미흡 ▲공사과정에서 추가되는 하중을 적게 고려 등을 주차장 붕괴 사고 주된 원인으로 지목했다.
국토부 등 건설업계에선 특히 구조설계의 문제점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구조설계상 모든 기둥(32개소)에 철근(전단보강근)이 필요하다. 그런데 해당 설계도면에는 기둥 15개에 철근을 적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표기했다. 설계 단계에서도 감리가 적용된다. 그런데 해당 아파트의 설계 도면을 확인·승인하는 감리 과정에서 이러한 전단보강근의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GS건설은 설계 부실에 대한 지적에 아쉬움을 나타냈다. GS건설은 "설계를 직접 발주한 것은 아니다. 다만 설계사가 보강근이 결여된 설계에 대해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한 부분은 설계사에 안일하게 대처했다"고 아쉬움을 표시했다.
다만 이번 전면 재시공에 따른 후폭풍도 예고되고 있다. 입주 지연에 따른 보상금 문제와 재시공까지 5년 정도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붕괴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금융비용은 가치 천문학적이다. GS건설이 감당해야 할 보상 비용은 총 1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철거비, 전면 재건설공사비, 금융권 이자 비용 등 모든 비용을 합산한 금액이다.
5일 GS건설이 사과문을 발표 전까지만 하더라도 주차장 부분만 재시공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사과문을 발표하면서 대책 방향이 전면 재시공 쪽으로 급선회했다. GS건설은 막대한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아파트 전면 재시공을 통해 고객의 신뢰를 회복하겠다는 결론을 내린 셈이다.
GS건설은 측은 "입주예정자들의 여론을 반영해 검단 단지 전체를 전면 재시공하고 입주 지연에 따른 모든 보상을 다 할 것"이라며 "임직원 모두가 자세를 가다듬고 진정으로 사랑받는 자이 브랜드로 한 단계 더 나아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편 문제의 아파트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발주, GS건설이 시공을 맡은 공공분양 아파트다. GS건설은 LH로부터 이 공사를 2010년 11월 2773억원에 수주했다. 공사비 자체는 1600억원 규모로 알려졌다. 이번 붕괴 사고로 아파트 철거 및 재시공 비용은 추후 발주청, 시공사, 감리자 등 이번 사고와 관련 책임 당사자들끼리 협의를 통해 분담할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