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김진태 기자] 올해 상반기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아파트에 1순위 청약 접수가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1월에서 6월(6월 22일 기준)까지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아파트는 총 16개 단지였다. 16개단지 1만3201가구 모집에 1순위에 7만 8626건의 청약 접수돼 1개 단지 평균 4914건이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1000가구 미만 단지는 67개 단지 1만8214가구가 공급됐다. 1000가구 미만 단지 1순위 청약에서는 17만 8483건이 1순위에 접수돼 평균 2664건으로 대단지의 절반 수준으로 나타났다.
대단지 아파트는 매매 가격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114 랩스에 따르면 단지 규모별 전국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6월 23일 기준)는 ▲300가구 미만 1846만원 ▲300~499가구 1856만원 ▲500~699가구 1861만원 ▲700~999가구 1904만원 ▲1,000~1499가구 2098만원 ▲1500가구 이상 2697만원으로 규모가 클수록 가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약 성적도 눈에 띈다. 지난달 충북 청주시흥덕구에서 분양한 ‘신영지웰푸르지오테크노폴리스센트럴’은 총1034가구 대단지 아파트로 주목 받으며 평균 73.8대 1 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앞서 4월에 분양한 총 1806가구의 동대문구 휘경동 ‘휘경자이디센시아’ 역시 329가구 모집에 1순위에 1만7013명이 청약 접수하면서 평균 51.71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처럼 대단지 아파트의 인기가 높은 이유는 입주민을 위한 다양한 커뮤니티와 관리비 부담이 적은 장점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대단지 아파트의 경우 메이저 건설사 브랜드로 공급되거나 입지가 뛰어난 사례가 많아 지역 리딩 단지로 자리매김하는 경우도 많다.
실제로 단지 규모가 큰 경우 관리비도 저렴한 편이다. 국토교통부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발생한 전국 아파트의 가구 수 별 공용관리비는 ▲150~299가구 1407원/㎡ ▲300~499가구 1260원 ▲500~999가구 1197원 ▲1000가구 이상 1170원이었다. 가구 수가 많을수록 관리비가 저렴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대단지 아파트는 입주 세대가 많아 규모의 경제 효과를 톡톡히 볼 수 있는 주거 상품이다.”라며, “단지 규모가 클수록 관리비는 저렴하고, 커뮤니티 등 내부 시설이 잘 갖춰져 있는 만큼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다.”라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7월에는 1000가구 이상 대단지가 전국 11곳에서 총 2만189가구 중 1만2146가구가 일반분양된다. 지역별로 일반분양 물량을 살펴보면 ▲서울 2곳 930가구 ▲인천 1곳 1370가구 ▲경기 3곳 3409가구 ▲지방 5곳 6437가구가 분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