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박제성 기자] “2024년까지 미국 조지아주 공장에 통합 밸류체인을 완성하는 태양광 제품을 생산하겠다.” (이구영 한화솔루션 대표)
11일 한화솔루션이 현장 미디어데이 행사를 열고 미국 조지아주 현지에 3조2000억원 규모의 통합 밸류체인(공급망 구축)의 태양광 공장을 짓는다고 밝혔다. 이구영 대표가 올해 태양광 사업으로 청사진을 내세운 곳은 북미 시장이다. 그 중에서도 미국이다. 태양광 소재 중간단계인 잉곳(태양광 웨이퍼 전단계 소재)→웨이퍼→셀→모듈 등 일련의 단계를 조지아주에서 2024년부터 양산에 들어간다고 대내외적으로 알렸다.
한화솔루션은 3조2000억원의 자금조달을 위해 차입금에 의존하는 대신 자체적으로 자금조달을 이행한다는 방침이다. 이같은 투자 규모는 미국 태양광 역사상 최대 산업규모다. 특히 핵심 밸류체인을 모두 갖추는 것 한화솔루션이 최초다. 구체적으로 내년부터 연간 3.3GW 규모의 잉곳∙웨이퍼∙셀·모듈을 생산하는 공장을 따로 신설한다. 현재 연간 생산능력(캐파)이 1.7GW인 모듈은 생산라인 추가 증설을 통해 총 8.4GW로 확대한다.
우선 조지아주 카터스빌에 총 3조원을 투자, 내년 말 상업생산을 목표로 각 3.3GW 규모의 잉곳·웨이퍼·셀·모듈 통합 생산 단지를 건설할 예정이다.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모듈’로 이어지는 태양광 핵심 밸류체인 5단계 중 4단계를 완성한다. 원재료인 폴리실리콘을 제외한 나머지 4개 제품을 한 곳에서 생산한다.
폴리실리콘도 생산도 수월하게 진행 중이다. 한화솔루션은 지난해 지분을 인수한 REC실리콘이 만드는 폴리실리콘 투입을 검토 중이다. REC실리콘은 워싱턴주 모지스레이크에 위치한 수력 발전 기반의 친환경 폴리실리콘 생산업체다. 올해 말부터 약 5.3GW의 셀 생산 가능 규모인 연간 1만 6000톤의 폴리실리콘을 양산할 예정이다.
한화솔루션이 내년 말 달튼 공장과 카터스빌 공장의 신증설을 완료하면 현지 모듈 생산 능력은 총 8.4GW로 늘어난다. 이는 미국 가구 기준 130만 가구가 1년 동안 사용 가능한 전력량이다. 이구영 대표는 올해 본격화 한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대응 차원에서 정부로부터 세액공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밸류체인별 생산 라인을 한군데 집결해 물류비 절감과 운영 효율성 제고 등을 통해 원가 경쟁력이 강화된다.
이구영 대표는 Q&A(질문&답변)에서 “미국 조지아주에 현지 태양광 공장건설에 참여할 미국업체들에게 IRA 관련 발전투자금 중 30% 세액공제 혜택이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한화솔루션의 투자금으로 세액공제를 받는 것이 아닌 조지아주 공장 건설에 참여하는 미국 업체에 해당한다.
현재 태양광 IRA 법안은 셀은 와트당 4센트, 모듈은 와트당 7센트를 세액공제를 받는다. 잉곳·웨이퍼는 와트당 4.69센트를 세액공제 받는다. 이번 조지아주 공장을 완공할 경우 총 8.4GW에서 모듈(7센트)을 곱하면 5억8800만 달러의 세액을 공제 받는다. 셀(4센트)의 경우 1억3200만 달러를 세액공제 받는다. 잉곳·웨이퍼는 1억5500만 달러를 공제받는다. 이를 합칠 경우 약 1조원 규모의 세액공제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