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계, 감기약 가격인상 '초읽기'...감기약 품귀현상 심화

등록 2022.11.10 10:54:02 수정 2022.11.10 10:54:12

보건복지부, 종근당, 한미약품 등 6곳 제약사 불러 약값인상 심도 논의
약값 인상시기 12월 중 결정 '초읽기' 가격 인상 시 1억정 캡슐 생산 가능
제약사 "현재 1정당 50원 수준 감기약 2배 정도 올려야 적정“

 

[FETV=박제성 기자] 최근 코로나19 감염자와 독감 환자가 동시에 급증하는 트윈데믹 영향으로 감기약 품귀현상을 빚는 가운데 감기약 가격인상이 초읽기에 들어가 주목된다. 제약업계 일각에선 각 제약사들이 올해 연말을 전후해 가격인상 경쟁에 나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감기약 인상안을 놓고 정부가 인상안을 매듭지겠다는 의견을 제약업계에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 인해 종근당, 한미약품, 유한양행, 녹십자 대웅제약, 보령, 대원제약 등 국내 주요 제약사들이 인상안에 초읽기 모드에 들어가고 있다.

 

최근 독감, 코로나가 재확산세로 접어든 가운데 제약업계에선 감기약 제조성분 가격이 오름에 따라 감기약을 올려야 수지타산이 맞는다는 입장이다. 그래야지만 최대 1억정(캡슐)을 추가 생산할 수 있다는 뜻을 정부에 전했다.

 

대표적으로 현재 50원 수준인 아세트아니노펜 650㎎의 약값을 100원 이상 올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결정권은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손에 달려 있다. 이유는 감기약이 인상될 경우 세금 문제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에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공단 등 정부 및 관련기관과 제약사들은 오는 12월말까지 감기약 인상안을 마무리하겠다는 인식아래 감기약 가격 인상폭을 놓고 긴밀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일단 양측은 감기약 인상 방향에 대해선 일정부문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감기약 가격인상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실제 약값 인상안을 처리하는 기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 약제급여평가위원회에서 논의한다. 제약업체들이 심평원에 약값 인상안을 신청하면 약제급여평가위원회에 최종 결정여부를 판단한다. 그럼에도 최종 정책결정 권한을 갖는 보건복지부 의견이 가장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올해 12월, 감기약 인상안 확정하는 분위기…관건은 얼마만큼 인상할지가 = 현재 분위기는 감기약 인상안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문제는 얼마만큼 인상할지 여부가 관건이다. 현재 수요량이 급격히 늘고 있는 감기약은 해열진통제 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 650㎎이다. 이 성분은 타이레놀(감기약)의 주요 성분이다.

 

아세트아미포펜 감기약 제품으로는 ▲한미약품(타이롤핫) ▲종근당(펜잘) ▲대웅제약(이지엔6에이스) ▲안국약품(라페론) ▲대원제약(펜세타정) ▲휴온스(아미세타정) 등이 포함된다. 

 

제약업계에 따르면 아세트아미노펜 650㎎ 기준 일반용(약국판매용), 조제용(병원처방)의 가격은 1정당 각각 200원, 51원 수준이다. 문제는 늘어나는 감기약 수요량에 대한 생산량 확대를 위해서는 해당 가격보다는 최소 100~150원 가량 인상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감기약 생산의 경우 수익성이 크지 않은 대부분은 외주에 맡기는 방식이다. 생산 주문을 받은 외주업체들은 수익성이 크지 않지만 대량 생산을 통해 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외주업체들이 감기약을 인상하지 않고 생산량을 늘리기만 할 경우 물량을 안받겠다고 하면 차질이 생긴다.

 

의료계는 올해 겨울철이 시작 단계이기 때문에 내년 겨울까진 코로나 확진자와 독감 환자수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럴 경우 감기약 수급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게 불보듯 뻔한 상황이다. 따라서 정부와 제약사가 12월 감기약 인상안을 마무리 짓고 곧장 생산량 확대에 나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올해 7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감기약이 6월7일부터 7월25일까지 약국 등으로 일평균 300만정(캡슐) 수준으로 원할히 공급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현재 정부가 약값 인상 추진 의사를 밝힌 만큼 인상안이 유력한 분위기다. 다만 얼마만큼 인상을 할 지 여부는 제약사와 협상을 통해 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제성 기자 js840530@fetv.co.kr
Copyright @FETV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FETV | 법인명: ㈜뉴스컴퍼니 | 등록및발행일: 2011.03.22 | 등록번호: 서울,아01559 | 발행인·편집인: 김대종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9 레이즈빌딩 5층 | 전화: 02-2070-8316 | 팩스: 02-2070-8318 Copyright @FETV. All right reserved. FETV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