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1~3분기 누적매출 2조원 돌파 …영업익 3247억

등록 2022.10.26 15:52:50 수정 2022.10.26 18:11:59

3분기 매출 8730억·영업익 3247억원…연결기준 누적 2조 358억원 기록
제품 판매·환율 상승 효과…전년동기比 매출·영업이익 각각 94% 증가
4공장 가동·제2캠퍼스 부지 확보·이중항체 플랫폼 론칭 등 사업 확대 지속

 

[FETV=박제성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글로벌 인플레이션, 경기하락의 경영환경에도 2022년 3분기(7~9월) 기준 연간 누적 매출 2조원을 돌파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8730억원(6억4700만 달러), 영업이익 3247억원(2억4000만 달러)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3분기 제품 판매량 증가 및 환율 상승 효과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4223억원(94%), 영업이익은 1573억원(94%) 각각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37%를 기록했다.

 

이로써 올해 누적 매출액(1~3분기)은 연결 기준 2조358억원(영업이익 6708억원)으로 사상 처음으로 연간 매출액 2조원을 넘어섰다.

 

삼성바이오로직스 3분기 별도 기준으로도 누적 매출 1조 6896억원, 영업이익 6595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연간 실적 (매출 1조5680억원, 영업이익 5365억원)을 초과 달성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3분기 별도 기준 매출 6746억원(5억 달러), 영업이익 3114억원(2억3084만 달러)을 기록했다.

 

원료의약품 CMO(위탁개발생산) 판매량 및 CDO(위탁개발) 등의 이익이 늘어난 가운데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239억원(49%), 영업이익은 1,442억원(86%) 각각 증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3분기 별도기준 매출 6746억원(5억 달러), 영업이익 3114억원(2억3084만 달러)을 기록했다.

 

원료의약품 CMO 판매량 및 CDO 등의 이익이 늘어난 가운데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239억원(49%), 영업이익은 1,442억원(86%) 각각 증가했다.

 

4공장 건설 및 2단지 부지 취득 등의 영향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3분기 연결기준 자산은 16조 918억원, 자본 8조6106억원, 부채 7조4812억원으로 변경됐다. 부채비율은 86.9%, 차입금 비율은 24.1%로 안정적인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2년 10월, 착공 23개월 만에 세계 최대 규모의 생산능력(24만 리터)을 갖춘 4공장의 부분 가동을 시작하며 글로벌 톱티어 바이오 기업으로의 도약을 본격화하고 있다.

 

4공장이 전체 가동되는 2023년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생산능력은 총 60만4000리터로 CDMO(위탁생산 개발) 업계에서 압도적 1위 기업으로 자리를 굳힐 전망이다.

 

CDO 사업부문에서는 신규 이중항체 플랫폼 ‘S-DUAL(에스-듀얼)’을 론칭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대했다.

 

누적 수주 건수는 CMO 73건, CDO 100건이며 누적 수주액은 85억 달러(12조1700억원) 규모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 4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100% 자회사로 전환됐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총 6종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판매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3분기에는 ‘휴미라(면역질환제)’ 바이오시밀러(SB5, 바이오복제의약품) 고농도 제형의 미국 허가를 획득했다. ‘프롤리아(골다공증 치료제)’ 바이오시밀러(SB16)와 ‘스텔라라(크론병 치료제)’ 바이오시밀러(SB17)의 임상 3상을 연내 종료하는 등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7월 인천 송도에 제 2바이오캠퍼스 부지 매입 계약 체결을 완료함에 따라 생산설비 증설 등 선제적 투자를 이어갈 방침이다. 라이프사이언스 펀드를 통해 미국 바이오테크 센다(Senda)社에 투자하는 등 미래 바이오제약 기술 발굴 및 육성을 이어가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속 가능한 CDMO’기업으로서 바이오제약 업계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앞장서고 있다.

 

올해 두 번째 ESG 보고서를 발간, 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및 협력사와 물류 등 밸류체인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까지 줄여가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아울러 RE100 이니셔티브 등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 움직임에 적극 동참할 계획이다.

 

앞서 9월에는 글로벌 지속가능성 조사기관 에코바디스의 ESG 평가에서 상위 5% 기업에만 부여되는 골드 등급을 수상했다.



박제성 기자 js840530@fetv.co.kr
Copyright @FETV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FETV | 법인명: ㈜뉴스컴퍼니 | 등록및발행일: 2011.03.22 | 등록번호: 서울,아01559 | 발행인·편집인: 김대종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9 레이즈빌딩 5층 | 전화: 02-2070-8316 | 팩스: 02-2070-8318 Copyright @FETV. All right reserved. FETV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