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일양약품 대표, 국감서 "코로나 주가조작 의혹 사죄"

등록 2022.10.21 14:20:34 수정 2022.10.21 14:20:45

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동연 대표 증인 출석
신현영 의원 "주가 오른시점 오너 일가 4명이 무려 8만2000주 매도" 지적

 

[FETV=박제성 기자] 김동연 일양약품 대표가 코로나 치료효과 부풀리기 관련 주가조작 의혹에 ‘두손 두발’ 들며 한발 물러선 가운데 사죄를 했다. 20일 김동연 대표는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국민 보건안전 측면에서 사회적 물의를 일어킨 부분에 대해해 사과 말씀을 드린다. 앞으로도 신약 개발을 위해 열심히 할 것”이라고 사죄했다.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종합 국정감사(국감)에서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의 코로나 치료제 효과 관련 주가조작 의혹을 제기했다.

 

국감 질의시간에 신 의원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코로나 발생이 본격 시작될 무렵 대웅제약, 종근당, JW중외제약, 한국파스퇴르연구소, 보령제약 등 국내 주요 제약사들이 너도 나도 코로나 치료제 개발에 뛰어들었다.

 

코로나 치료제 개발의 관건인 치료효과, 안정성이 가장 중요했지만 개발속도 경쟁도 이에 못지않게 중요했다. 이런 와중에서 이들 제약사들이 코로나 치료제 개발 관련 연구결과를 언론 보도자료로 배포했다.

 

보도자료에는 가령 미국산이자 글로벌 최초의 코로나 치료제인 렘데시비르와 비교해 적게는 몇 배 많게 수천배 좋다는 내용도 담겨 있었다.

 

신 의원은 이러한 보도자료 배포가 국민들로 하여금 해당 제약사의 주식을 사게 만들어 주가조작이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당시에는 근거를 가지고 나온 보도자료겠지만 이런 내용들에 현혹된 국민들이 해당 제약회사 주식을 살 수 있지 않겠냐”며 “이런 회사에 투자하면 주가 오르고 수익이 날 거라고 생각할 것”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신 의원은 특히 김동연 일양약품 대표를 국감 증인으로 소환해 코로나 치료제 과대효과 주가조작 의혹에 대해 질의했다. 이에 김동연 대표의 설득 반발도 있었다.

 

김 대표는 “일양약품도 마찬가지로 타 제약사와 마찬가지로 이런 보도자료는 통상 홍보 활동”이라고 해명했다. 신 의원은 “코로나 위기 상황에서 제약사들이 이런 자료를 내는 게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김 대표는 “국내 제약사들이 자본이 부족하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 위급한 상황에서 라이선싱 아웃(기술수출)해서 파트너를 찾기 위한 홍보수단”이라고 설득을 피력했다.

 

앞서 2020년 3~6월 일양약품은 자사 백혈병 치료제 ‘슈펙트’를 코로나 치료제로 개발계획을 밝힌 바 있다. 특히 슈펙트의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효과가 렘데시비르보다 우월하다는 보도자료를 낸 바 있다.

 

이러자 주가가 상승 그래프로 꿈틀됐다. 코로나 치료개발 이슈가 터지기 전 2020년 3월 일양약품 주가는 1만9700원에서 슈펙트 이슈가 터지고 난 뒤 한 때 10만6500원까지 치솟았다. 

 

신 의원은 일양약품의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보도 이후 일양약품 주가가 1만9천700원에서 10만6천500원까지 올랐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이 시점부터 주가조작 의혹이 불거졌다. 주가가 오른 시점에 오너 일가 4명이 무려 8만2000주를 매도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일양약품이 오너승계를 위한 상속세 마련에 꼼수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된다.

 

신 의원은 국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제약사를 대상으로 책임있는 자세를 강조했다. 신 의원은 “코로나라는 감염병의 불확실성을 가지고 주식을 이용해 국민들을 희생양으로 삼으면 안된다”며 “일양약품은 최근 불법 리베이트가 적발돼 판매 업무정지 3개월을 받은 적도 있는데 앞으로 기업윤리와 감염병과 관련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대답해달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일양약품은 10년 전부터 항바이러스 연구에만 몰두했는데 앞으로도 항바이러스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며 “국민 보건안전 측면에서 물의가 일어난 부분에 대해서 사과 말씀을 드리며 앞으로도 신약 개발을 위해 열심히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 의원은 이런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정부 제도 구축도 촉구했다. 신 의원은 "이런 사태가 코로나 시기에 상당히 있었고 앞으로 반복될 감염병 시대에 많은 제약사가 국민을 현혹할 수 있다"며 정부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제도적 개선 방안이 강구되려면 관계부처와 협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9월 29일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코로나 치료제의 효과를 왜곡 발표해 주가를 띄운 혐의(자본시장법 위반)로 일양약품을 수사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박제성 기자 js840530@fetv.co.kr
Copyright @FETV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FETV | 법인명: ㈜뉴스컴퍼니 | 등록및발행일: 2011.03.22 | 등록번호: 서울,아01559 | 발행인·편집인: 김대종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9 레이즈빌딩 5층 | 전화: 02-2070-8316 | 팩스: 02-2070-8318 Copyright @FETV. All right reserved. FETV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