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박제성 기자] 정유업계의 하반기 수익이 비상이 걸렸다. 핵심지표인 정제마진이 0달러로 곤두박질쳐 팔아도 남지 않는 형태를 띄고 있다.
상반기 국제유가가 사상최대의 고유가 행진을 이어갈 때만 하더라도 정제마진이 급등했다. 하반기 들어 상황은 반전됐다. 9월 이후 싱가포르 국제유가 정제마진이 바닥을 치고 있기 때문이다.
2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9월 셋째주 기준 싱가포르 복합 정제마진은 배럴당 0달러다. 앞서 7월 정제마진이 10~20달러 범위와는 완전 상반된 모습이다.
특히 9월 들어 2차례 배럴당 정제마진이 마이너스대로 떨어질 만큼 정유업계가 예의주시하고 있다. 2020년 9월 이후 2년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이다. 정제마진은 휘발유, 경유 등의 최종 석유제품 가격에서 원유를 포함한 각 종 비용을 차감한 순수 마진을 말한다.
9월 15일 배럴당 정제마진은 -1.64달러, 16일 -2.95달러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21일에는 2.05달러로 상승세였다가 23일 다시 -0.13 달러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정유업계에 따르면 9월 3째주 평균 정제마진은 0달러다. 즉 원유에서 석유화학 제품으로 팔아도 본전인 셈이다.
정유업계에선 보통 4~5달러를 정제마진의 손익분기점(이익도 손해도 아닌 지점)을 판단한다. 손익분기점 이하면 손해로 간주한다.
앞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등의 여파로 6월 4째주만 하더라도 정제마진이 배럴당 29.5 달러까지 급등했다. 정제마진이 곤두박질 치는 이유는 국제유가가 하락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미국발 금리인상으로 고물가 글로벌 경기침체가 펼쳐지는 점도 유가하락에 불씨를 지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