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 발전설비 비중 첫 20% 돌파…"태양광 덕분"

등록 2022.09.20 08:48:40 수정 2022.09.20 08:49:29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10년 전 대비 4배 가량 증가
현 정부 탈원전 정책 내세워 향후 원자력 비중 증가세 전망

 

[FETV=박제성 기자] 올해 들어 태양광에 힘입어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비중이 전체 에너지 비중 대비 2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발전 비중을 높여준 것은 태양광이다.  전체 신재생에너지 비중에서 태양광이 15% 가량 차지했다. 

 

이러한 태양광의 힘입어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10년 전 대비 4배 가량 증가했다. 특히 태양광은 19배가 넘었다. 반면 원자력은 17% 수준으로 10년 전보다 비중이 줄었다. 이같은 태양광 비중 증가로 가장 수혜를 입는 업체는 K-태양광의 한화큐셀이다.

 

20일 전력거래소 전력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9월 기준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은 2만7103메가와트(MW)로 전체(13만4719MW)의 20.1%로 사상 최대다.

이 비중은 올해 7월 19.8%에서 8월 20.1%로 사상 첫 20% 선을 돌파했다. 신재생 중 태양광 발전설비 용량이 2만305MW로 전체의 15.1%를 차지했다.

 

수력(1812MW), 바이오(1800MW), 풍력(1754MW)은 각각 1.3% 수준이다. 재생에너지가 아닌 일반에너지의 액화천연가스(LNG)가 30.8%, 유연탄(석탄) 27.2%, 원자력 17.3% 순이다.

 

신재생 비중은 원자력보다 2.9% 높은 것이다. 지난해 9월 신재생 비중이 17.8%로 원자력(17.6%)을 처음 앞선 뒤 역전 현상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신재생 비중은 약 10년 전인 2012년 12월(5.0%)과 비교하면 4배 수준이다. 태양광 비중은 이 기간 0.8%에서 15.1%, 무려 18배로 증가했다.

 

다만 현 윤석열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내세우고 있어 향후 원자력 비중이 증가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달 발표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오는 2030년에 원전 발전량을 전체의 32.8% 수준으로 확대, 신재생은 21.5%로 유지하는 방안이 담겼다.



박제성 기자 js840530@fetv.co.kr
Copyright @FETV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FETV | 법인명: ㈜뉴스컴퍼니 | 등록및발행일: 2011.03.22 | 등록번호: 서울,아01559 | 발행인·편집인: 김대종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9 레이즈빌딩 5층 | 전화: 02-2070-8316 | 팩스: 02-2070-8318 Copyright @FETV. All right reserved. FETV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