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영진 산업부 차관, 포스코케미칼 현장공급망 점검

등록 2022.08.25 16:42:48 수정 2022.08.25 16:42:54

 

[FETV=박제성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장영진 1차관이 25일 인조흑연 음극재 국산화에 최초로 성공한 포스코케미칼의 경북 포항 공장을 방문해 핵심 품목에 대한 공급망을 점검한다고 밝혔다.

 

포스코케미칼은 지난해 12월 포항에서 인조흑연 음극재 생산공장 1단계 준공식을 열고 시험 가동에 들어갔으며, 현재 양산을 준비 중이다. 내년에는 연산 1만6000t(톤) 규모로 종합 준공할 예정이다.

 

이차전지(배터리) 음극재의 핵심 소재인 인조흑연은 천연흑연 대비 전기차의 배터리 수명이 늘어나고 충전 속도가 빨라지는 장점에도 국내 생산기술 부족으로 일본·중국 등에서 그간 전량 수입해왔다.

 

인조흑연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핵심 전략품목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을 전제로 기술개발, 세제·금융, 규제 완화 등을 종합지원하는 '소부장 협력모델'을 통해 개발됐다. 8월까지 국비 100억원이 투입됐다.

LG에너지솔루션은 협력모델 과제에 인조흑연 음극재 성능평가 및 수요 파트너로 참여했다.

 

산업부는 "포스코케미칼이 국산화를 통해 국내외 인조흑연 시장의 점유율을 상당 부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통과로 공급망 다변화를 추진하는 해외 이차전지 회사로의 수출이 많이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장 차관은 이날 포스코케미칼의 인조흑연 국산화 성공에 대해 격려하는 동시에 기업 간담회를 열어 '새 정부 소부장 정책방향'에 대한 의견도 수렴한다.

 

산업부는 현재 일본과 주력산업 중심의 공급망 정책을 전 세계와 미래 첨단산업 분야로 확장해 요소와 같은 범용품·원소재를 포함한 공급망 관리·지원 방안을 마련 중이다.



박제성 기자 js840530@fetv.co.kr
Copyright @FETV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FETV | 법인명: ㈜뉴스컴퍼니 | 등록및발행일: 2011.03.22 | 등록번호: 서울,아01559 | 발행인·편집인: 김대종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9 레이즈빌딩 5층 | 전화: 02-2070-8316 | 팩스: 02-2070-8318 Copyright @FETV. All right reserved. FETV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