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폭염 속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주의보

등록 2016.08.11 13:07:47

광주시보건환경연구원은 폭염과 열대야가 반복되는 가운데 병원성대장균으로 인한 식중독에 주의해달라고 밝혔다.

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9일 식중독 발생 가능성을 예보하는 식중독지수가 경고 수준이라고 언급했다.

광주지역 설사질환 원인체 검사 결과 세균성 병원체로 인한 검출률이 6월 10.9%에서 7월 32.6%로 3배 높게 나타났다.

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질병관리본부와 공동으로 지역 협력병원을 선정해 올 1월부터 7월까지 설사질환으로 내원하거나 입원한 환자 1천807건을 대상으로 급성 설사질환 감시사업을 실시했다.

해당 검사 결과 371건에서 원인 병원체가 검출됐다. 1월에는 노로바이러스 등 바이러스성 병원체의 검출률이 43%로 높게 나타났지만, 때 이른 무더위가 시작된 5월부터 세균성 병원체의 검출률이 증가하기 시작해 7월에는 32.6%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검출된 주요 병원체는 병원성대장균 28.6%, 살모넬라균 27%, 황색포도알균 22.2%, 캠필로박터균 19.0%와 클로스트리디움균 3.2% 순으로 집계됐다.

가장 높은 분포를 보인 병원성대장균은 지난 6월 16.7%에서 28.6%로 크게 증가하고, 주로 오염된 육류와 채소류를 섭취한 후 평균 18~26시간의 잠복기를 거쳐 설사, 발열, 복통 등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계자는 “고온현상이 지속되면서 9월 추석까지는 식중독이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일반음식점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칼, 도마, 식기류의 위생관리와 손씻기, 음식물 익혀먹기, 물 끓여먹기 등 식중독 예방 3원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슬기 기자



이슬기 기자
Copyright @FETV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FETV | 법인명: ㈜뉴스컴퍼니 | 등록및발행일: 2011.03.22 | 등록번호: 서울,아01559 | 발행인·편집인: 김대종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9 레이즈빌딩 5층 | 전화: 02-2070-8316 | 팩스: 02-2070-8318 Copyright @FETV. All right reserved. FETV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