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박신진 기자] 금융당국 출신들의 가상자산 거래소 및 로펌으로 이동이 줄을 잇고 있다.
이에 대해 종합검사 등에 대비한 '바람막이' 영입과 가상자산이 미래지향적인 산업임을 반증하는 것이라는 두 가지 시선이 있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금융감독원 일반은행검사국 모 수석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으로 자리를 옮겼다. 빗썸은 작년 금융위원회 출신 5급사무관을 영입한데 이어 세 번째 금융 당국 출신 영입이다. 이상준 빗썸 홀딩스 대표도 금감원 출신이다.
가상가산 거래소의 고위 공무원 출신 영입은 지난해부터 본격화됐다. 작년 7월 업계 1위 '업비트'는 이해붕 금감원 핀테크현장자문단 부국장을 투자자보호센터장으로 영입했다. 임지훈 최고전략책임자(CSO)도 금감원 출신이다.
같은해 9월엔 '지닥'이 기획재정부 출신의 곽상용씨를 감사로 영입했다. 곽 감사는 대통령 비서실 경제수석실 행정관,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국제기구과장을 거친 인물이다. 그는 지닥에서 자금세탁 방지 업무수행이 차질 없이 진행되는지 감시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최근 금융 당국 출신들이 향하는 곳은 로펌도 있다. 전길수 금감원 디지털금융검사국장은 이번 달 김앤장 고문으로 자리했다. 그는 금감원에서 IT핀테크전략국장도 역임한 바 있다. 또 이한진 금융위 소비자정책과장도 김앤장으로 이동할 예정이다. 작년 금감원 퇴직자들이 금융권 다음으로 가장 많이 취업한 곳은 로펌이었다.
시장에서는 거래소와 로펌에서 금융 관료 출신 인재들을 끌어들이는 배경으로 규제를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금융 당국 출신인 만큼 일종의 ‘방패막이’ 역할을 해줄 것이란 기대다. 특히 최근엔 가상자산 사업자 종합검사를 실시하고 있어 이를 고려한 인재 영입이 아니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 같은 우려는 연구결과에서도 확인 되고 있다. 2019년 한국개발연구원이 실시한 따르면 금융당국 출신 임원이 채용된 이후 금융회사의 재무적 위험관리 성과가 개선되는 모습은 없었다. 한편, 금감원 출신 임원이 고용된 직후 금융회사가 제재를 받을 확률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기영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금감원 출신 임원이 취임한 이후 금융회사가 제재를 받을 가능성은 약 16.4% 감소했다“며 ”다만, 금감원 출신 인사의 고용에 따른 제재 감소효과는 단기적인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반면, 이들의 영입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있다. 업비트의 이해붕 센터장은 두나무가 100억원을 투자해 설립한 ‘업비트 디지털 자산 투자자 보호센터’를 이끌고 있다. 업비트 관계자는 “이 센터장은 새롭게 신설된 사업과 관련된 업무에만 집중하는 데도 바쁜 상황이라 거래소 종합검사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라고 설명했다.
다른 거래소 관계자도 “아무래도 작년을 기점으로 가상자산 산업을 바라보는 이미지가 크게 개선된 것 같다”며 “대선주자들이 방문해서 거래소의 이야기를 듣는다는 점만 봐도 이미 중요한 산업으로 자리잡는 다는 증거이며, 과거 부정적 인식과 달리 최근에는 NFT(대체불가토큰)와 웹3.0 등을 중심으로 미래지향적 산업이라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에 따라 과거 권력기관으로 분류됐던 금융기관에서도 관심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한국개발연구원에 따르면 금감원과 달리 금융위, 기재부, 한국은행 출신 인사가 임원으로 취임한 경우에는 금융회사가 제재를 받을 확률이 눈에 띄게 줄어들지는 않았다.
마지막으로 거래소 관계자는 “기존에 없던 새로운 가상자산 산업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 등이 신설되는 등 제도권에 편입되는 과정 중에 있다”며 “업계에서는 제도권 금융을 잘 아는 인재가 필요한 시점이며, 가상자산을 바라보는 이미지가 작년을 기점으로 긍정적으로 변화된 점도 고려가 돼야 할 지점”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