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5G 선도…MWC22서 글로벌 기술 진화 소개

등록 2022.02.24 09:20:11

[FETV=김현호 기자] SK텔레콤은 이번 MWC 22 전시관 ‘5G & Beyond’ 주제 전시를 통해 5G 단독모드(SA·Stand Alone) 상용망 장비 환경에서 ‘5G 옵션4’ 기술을 검증한 사례를 선보인다고 24일 밝혔다. 

 

 

통신업계에 따르면 옵션4는 5G-4G NE-DC(New Radio E-UTRAN Dual Connectivity) 기술로도 불린다. LTE만 사용하는 ‘옵션1’, 5G만 사용하는 ‘옵션2’, EN-DC 기술로 구현된 5G 비단독모드(NSA) ‘옵션3’와 비교되는게 특징이다. 

 

이번에 SKT와 삼성전자가 공개하는 ‘5G 옵션4’ 기술은 세계 최초로 연구소 뿐만 아니라 상용망에서도 검증한 연구로,비단독모드(NSA) 대비 속도 저하가 없으며 서비스나 상황에 맞게 5G 단독 또는 LTE와 합쳐 사용할 수 있어 단독모드(SA)의 기술수준을 한 단계 높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SKT와 삼성전자는 최근 SKT 분당 연구소에서 ‘5G 옵션4’를 활용해 비단독모드(NSA)와 동등 수준의 통신 속도를 달성하면서 단독모드(SA)의 특화 기능 검증도 완료했다. 또 연구소 외의 5G 상용망에서도 비단독모드(NSA)와 동등한 속도를 확인했다. 이번 시험에는 현재 운영중인 SKT 상용망에 삼성전자의 5G 코어, 5G 기지국과 4G 기지국 장비가 활용됐다.

 

‘5G 옵션4’는 5G 코어와 기지국 장비만을 이용하는 단독모드(SA) 기술인 ‘옵션 2’에서 한 단계 진화한 방식으로 5G 코어에 4G LTE 기지국과 5G 기지국을 함께 연결하는 차세대 5G 단독모드(SA) 표준 기술이다.

 

기존에 확보한 LTE 주파수를 활용하지 못하는 ‘5G 옵션2’는 다수 통신사가 사용중인 비단독모드(NSA) 기술 대비 속도와 품질 면에서 성능이 떨어지는 한계를 안고 있다.

 

SKT는 지난해 독일의 도이치텔레콤, 영국의 BT 등 글로벌 통신기업들과 함께 운영하는 ‘NGMN 얼라이언스’를 통해 ‘5G 옵션4’ 백서를 발간하고 기존 단독모드(SA) 기술의 한계를 극복해 비단독모드(NSA) 방식과 동등 수준 이상의 속도 및 품질을 제공하면서 네트워크 슬라이싱주, 진화된 5G 코어망주와 같은 단독모드(SA) 특화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옵션 4’ 기술 개발을 이끌어 왔다.

 

SKT와 삼성전자는 향후 UAM, 자율주행, 원격 로봇·중장비 제어 등 다양한 서비스에 진일보한 5G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5G 사용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고려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박종관 SKT 인프라기술담당은 "5G 옵션4는 우리나라의 세계 최초 5G 상용화 성과에서 한발 더 나아가, 세계 최고 수준의 LTE 네트워크를 함께 활용해 5G기술 진화를 선도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라며 “관련 생태계의 성장을 위해 국내외의 다양한 사업자들과 협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현호 기자 jojolove7817@fetv.co.kr
Copyright @FETV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FETV | 법인명: ㈜뉴스컴퍼니 | 등록및발행일: 2011.03.22 | 등록번호: 서울,아01559 | 발행인·편집인: 김대종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9 레이즈빌딩 5층 | 전화: 02-2070-8316 | 팩스: 02-2070-8318 Copyright @FETV. All right reserved. FETV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